전립선 비대증이란 전립선이 점차적으로 커져서 요도를 안쪽으로 압박하게 되어 배뇨와 관련된 여러 가지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게 되는 병입니다. 전립선 비대증은 왜 생기게 될까요? 전립선 비대가 생기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노화 , 두 번째로는 남성호르몬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노화가 진행되면 누구나 전립선이 커지게 됩니다. 조직적으로 규명해보면 50대가 되었을 경우 50% 정도의 사람들이 전립선 비대증이 와있고 70대가 되면 70% 정도가 될 정도로 노화로 인해 전립선 비대증이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증상의 정도, 경미한 정도, 심한 정도는 개인차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비대증 조직이 비대되는 것이 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또한 남성호르몬의 존재가 전립선 비대증의 원인인 경우에는 고환이 양쪽 다 손상되거나 고환 기능을 다 잃었을 때는 전립선 비대증이 생기지 않습니다. 즉 남성호르몬이 없으면 전립선 비대증도 안 생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남성호르몬이 꼭 높아야 전립선 비대증이 심해질까요? 남성호르몬은 한 가지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전립선 비대증을 잘 일으키는 DHT라는 남성호르몬이 많을수록 생기게 됩니다. 전체 남성 호르몬의 혈중 농도는 감소하지만 DHT의 전립선 내의 농도는 오히려 유지되거나 증가해있기 때문에 전립선 비대증이 생기게 됩니다. 관련된 약을 만들 때 DHT를 적게 만들어 약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 증상 어떤 것이 있을까?
첫 번째로는 폐색 증상이라고도 불리는 배뇨 증상입니다. 두 번째로는 저장증상 세 번째로는 배뇨 후 증상으로 총 세 가지로 나뉩니다. 배뇨증상 4가지로는 소변 줄기가 약해지거나 소변을 눌 때 힘을 줘야 하거나 소변이 잘 끊기는 경우, 잔뇨 감등이 있습니다. 저장증상은 전립선이 커지면서 방광을 자극해 저장을 잘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저장증상에는 빈뇨, 요절박, 야간뇨 등이 있습니다. 배뇨 후 증상은 배뇨 후 요점적이라고 소변이 한 번에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 세 가지 증상은 아주 일반적인 증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 검사방법?
첫 번째로 전립선 비대증에 관한 문진표를 검사할 경우 점수로 인해 의사들이 환자들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문을 통해 전립선의 후측과 외측을 검진할 수 있는 직장 수지검사가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일 경우 말랑말랑한 느낌이 들며 딱딱한 느낌이 들 경우 전립선 암을 의심할 수 있겠습니다.
세 번째로 초음파 검사가 있는데요. 다른 방법보다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전립선 크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할 때 초음파상 이상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고 전립선에 석회화되는 것들의 정도를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 초음파 검사를 많이 하며 보험도 들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 후 요속 및 잔뇨 검사가 있습니다. 기계에서 소변을 누는 패턴을 인식해 검사하는 방식으로 잔뇨량 또한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변검사 및 PSA 검사가 있는데요. 전립선 특이항원으로 전립선에 염증이 생기거나 암이 생겼을 때 혈중에서 PSA가 높게 나올 수 있는 경우를 측정해 주는 검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PSA 검사는 40-50대 이상 남자들은 검사를 꼭 해야만 합니다. PSA는 꼭 비뇨 의학과에 방문해 PSA를 파악하고 추적 관찰을 해나가야 합니다.
피검사 중에서 증상이 너무 심하거나 전립선 비대증이 오래 지속된 사람들은 신장 기능이 손상돼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럴 경우 크레아티닌이라는 신장 기능과 관련된 피검사를 같이 하게 들입니다.
전립선 비대증 치료방법
증상이 경미한 경우는 이뇨작용이 있는 카페인 섭취나 많은 음주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습관적인 배뇨습관들을 자신이 직접 훈련해보는 것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습니다.
증상이 중증도 이상의 경우에는 첫 번째로 약물치료로 하게 됩니다. 두 번째로는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약물 치료에도 증상 호전이 미미하거나 불가능한 경우, 반복되는 전립선 출혈 혹은 반복되는 요폐가 있는 경우, 방광결석 발생했을 경우, 재발성 요로감염, 수신증 및 신기능 저하인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입니다.
'허니팁♥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담배로 인한 두경부암 증상 및 치료방법 (0) | 2021.04.15 |
---|---|
통증 심한 구내염! 원인과 빨리 낫는 법 (0) | 2021.04.14 |
역류성 식도염 원인, 식이요법, 치료방법 (0) | 2021.04.12 |
피부의 적 아토피! 치료 및 관리방법 (0) | 2021.04.11 |
조현병(정신분열증) 왜 걸릴까? 조현병의 원인과 증상 (0) | 202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