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니팁♥/건강

조현병(정신분열증) 왜 걸릴까? 조현병의 원인과 증상

honeytipp 2021. 4. 11. 06:14
반응형

 

 

조현병이란 정신분열증으로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언어를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매우 심각한 정신장애입니다.

조현병은 세 가지 정도의 큰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가장 큰 특징은 망상이라고 하는 그런 증상입니다. 두 번째는 환각의 증상이 있고 세 번째는 와해된 언어라고 합니다. 와해된 언어는 보통의 언어가 아닌 이상한 언어, 이해가 되지 않는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망상이나 또 환각 증상이나 와해된 언어 증상이 이것이 한 달 이상 계속 지속되다가 6개월 이상 계속되고 있다면 일단 정신분열증 혹은 조현병의 증상을 의심해 한시라도 빨리 진료를 받도록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망상이란 이 세상에 대한 비현실적이고 자기 자신의 잘못된 믿음, 잘못되었는데 자신만의 아주 강한 신념 등을 뜻합니다.

망상의 종류에는 몇 가지 있는데요.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애정 망상 등 망상들이 정신분열증에 나타납니다.

피해망상이란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좋은 의도를 갖고 접근하며 친절을 베풀지만 조현병 환자들은 자신을 해치려고 하거나 나를 의심하고 나에게 해를 가할 것 같다는 혼자만의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친했던 인간관계가 피해망상으로 인해 멀어지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과대망상은 현실의 자기보다 허무맹랑하게 부풀어서 전지전능한 신처럼 생각이 들거나 보통사람 능력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잘못된 믿음을 갖는 것을 말합니다. 

관계망상이란 자기와 아무 관계없는 특정한 타인의 사건인 객관적인 사건을 나와 관계를 억지로 연결시킵니다.

없는 관계를 있는 관계처럼 생각하며 세상의 모든 삶의 모습을 자기와 다 연관시켜 혼자 피해의식을 갖거나 공격적인 생각을 갖는 경우입니다. 

애정 망상이란 평상시에 자신이 좋아하더나 사랑하는 사람, 혹은 연예인이 나를 사랑하고 있다는 착각을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를 6개월 이상 지속했을 때 정신분열증을 의심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환각 증상은 어떤 외부의 자극이 없는데도 자극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감각의 왜곡현상입니다.

환각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환청이 있습니다. 환청이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자기 자신이 만들어내는 소리입니다. 또한 환시는 소위 말하는 헛것이 보이는 경우입니다. 그 외로 상상으로 만들어낸 냄새를 맡는 환후가 있습니다.

 

정신분열증은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이 있습니다.

양성증상은 약물치료로 인해 증상이 완화가 되는 경우이며 음성증상은 치료가 힘듭니다. 양성증상은 증상이 겉으로 많이 드러나기 때문에 주변에서 눈에 많이 띄게 됩니다. 양성은 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약물치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음성증상의 경우에는 무언증이라 말을 하지 않습니다. 무감각증으로 좋아하는 것이 없고 웃음도 없으며 세상에 대해 무미건조합니다. 이 것을 감정적 둔마라고도 부릅니다. 음성증상은 의학회에서 판단하기를 뇌세포가 많이 손상이 되거나 유전적인 모습이 있을 경우이며 약물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신분열증은 부정적인 얘기를 듣거나 스트레스가 극에 달할 때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등 감정적으로 갑자기 예민해집니다. 심할 경우에는 자살을 시도하기도 합니다. 

 

조현병 원인이 뭘까?

 

첫 번째로는 유전적인 요인이 큽니다. 조현병 환자의 형제자매는 약 10배이며 부모 모두가 조현병일 경우 자녀는 약 36%, 쌍둥이 공병률일 경우 약 57%를 차지합니다.

두 번째로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우리 뇌의 신경전달물질, 소위 말하는 호르몬으로 인한 원인입니다.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이나 의욕적이고 활동적으로 만들어주는 도파민 호르몬 수치가 과다 분비했을 경우 나타납니다.

그 외에 조현병은 환경적인 요인, 심리적인 요인, 생물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한 가지 원인으로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유전적인 요인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으로 비교적 상황이 좋아지거나 꾸준한 치료를 하게 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보통 조현병은 남자는 20대 초반, 여자는 30대 초반에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나이를 많이 먹고 걸리는 조현병은 그만큼 치료도 빠르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원칙적으로는 약물치료가 유효하며 의사소통방식을 통한 훈련, 부정적 감정표현을 감소시키는 훈련이 있습니다.

 

반응형